[국화와 칼/ 루즈 베네딕트]를 읽고
<MOTIVE>
대학교 교양수업으로 "문화인류학"을 수강했던 적이 있다. 그 과목은 내가 한양대에서 들었던 과목 중 TOP 3 안에 들만큼 재밌게 들었던 과목이다. 문화의 다양성을 배우고, 또 우리 문화에 들어있는 맥락적 의미를 배우는 일은 재밌었다. 그 수업 시간에 배웠던 내용 중에 '예술', '기술', '정치'와 같은 단어들이 일제 치하에서 비롯된 단어라는 것을 배웠었다. 그리고 일본과 우리가 참 지독하게 얽혀있구나를 다시 느낄 수 있었다. 문화인류학이라는 학문 분야에 대한 흥미와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 그리고 역사적으로 어떤 민족이 우리를 지배했었는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문화인류학의 대표적인 학자인 루즈 베네딕트의 책을 읽게 되었다.
<CONTENT>
이 책은 제 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 국방부에서 지시한 사항에 대한 답변 보고서이다. 그들의 물음을 막말로 이랬다.
"얘네 도대체 뭐하는 애들이야?"
미국으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행동들, 예를 들어 가미카제 특공대, 천황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는 미국인들을 당황스럽게 하기에 충분했고, 그는 공포로 이어졌다.
다른 여타의 유럽국가들은 미국 기준의 상식에 부합하였지만 안 그래도 낯선 아시아의 강대국이라는 일본이 개인주의를 지향하는 미국으로서는 도무지 납득되지 않는 집단주의적인 행동을 하니 미국은 사실 전쟁에서 승리해도 이 일본이라는 국가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막막했던 것이다.
당시는 한창 전쟁 중이었기에 작가는 일본에 직접 방문할 수 없었다. 문화 인류학은 기본적으로 연구대상과 함께 하는 것을 방법론으로 택했는데 그것이 가로막힌 것이다. 그리하여 작가는 미국에 살고 있는 일본 교포들과 여러 서적들과 같은 2차 자료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러한 방법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대한 훌륭한 통찰을 내놓은 것이 아마 이 책의 업적일 것이다.
<국화와 칼>은 일본인들의 사고체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책이다. 그들이 왜 할복을 하는지, 그들은 왜 정치적인 영향력이 전혀 없는 천황을 신처럼 받드는지, 세계대전에 참가한 일본은 도대체 어떤 마인드로 전쟁에 임했는지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변이 이 책에 담겨있다.
<POSITIVE>
가끔 일본 애니를 보면서 들었던 궁금증이 있었다.
'일본은 왜 별 거 아닌 일들을 미안하고, 실례를 범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걸까?'
일본 여행을 준비할 때도 일본 여행을 당장 떠나야 하는 상황이라면 '스미마셍'만 알아도 된다는 블로그 게시글도 내가 평소 품고 있던 의문을 증폭시켰었다.그렇게 수줍어하고 사과를 하면서도 편의점에 가면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음란한 잡지들까지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이 이 책을 읽고 좀 해소가 되었다. 혹시 나와 같은 의문을 가지고 계신다면 한 번 읽어 보시라 추천해드리고 싶다.
<NEGATIVE>
이는 옮긴이의 말에서도 비롯된다. 어.렵.다 ^^
어느 부분은 이해가 가는데 또 몇 장 넘기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어렵다.
하지만 이해가 안 가도 우선은 머릿속 주머니 안에 넣어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나이기에 중도에 멈추고 싶은 욕망을 겨우 참아냈다.
다음에, 또 그 다음에 읽으면 그때는 이해를 잘할 수 있을 것 같다.
세상에 쉬운 도전만 하고 살 수는 없으니 도전해봤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다음에는 정복해주겠다
하지만 주의하셔야 할 것은
이 책은 약 6~70년전의 책이고 그 당시 일본인들의 사고체계에 관한 통찰이기에 현재 일본 사람들도 그러할 것이라는 오류를 범하지 않으셔야 한다. 다만 우리도 본래 가지고 있는 문화적 틀 속에서 현대화를 일구어 나가는 것처럼 일본 사람들의 그 문화적 사고의 틀을 이해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