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디지털 화폐 시리즈 (4)] 중국의 디지털 화폐, 미국의 달러패권에 도전할 수 있을까?
https://kingramgee.tistory.com/5
[중국 디지털 화폐 시리즈 (3)] 미*중 무역전쟁 속에서 중국의 디지털 화폐는 무기가 될까?
중국은 중앙정부에서 발행한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를 시행하며 전자지갑을 통한 디지털 위안화의 사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베이징 올림픽에서 공식적으로 쓰일 예정이라고 해
kingramgee.tistory.com
지난 시간에 중국의 디지털 화폐가 미중 관계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디지털 화폐는 아직 상용화 되지도 않았고, 내부적인 결제 시스템이기 때문에 미중 관계에서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었는데요.
둘의 정치 관계에서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 예측이 되긴 하지만 금융의 측면에서 보면 중국이 새로운 화폐의 사용의 형태를 만든다는 것은 사실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디지털 형식의 위안화가 미국의 달러 패권에 어떤 영향을 줄 지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힘은 어디에서 비롯될까요? 군사력? 정치력? 아닙니다.
바로 달러에서 비롯되는데요.
전세계 화폐 비중에 63%가 달러라고 하니 그 힘이 어마어마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전 세계물건의 63%를 미국은 공짜로 쓰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냥 종이에 1달러, 10달러라고 써서 상대에게 주면 거래가 성사되니까요. 이것이 기축통화국의 힘입니다.
하지만 이런 달러에도 우려되는 점이 있습니다.
과거 세계의 패권국가였던 로마는 금화를 화폐로 사용하는 제도였습니다. 그래서 이 금을 더 얻기 위해 전쟁을 치르고 그 결과로 거대한 대국을 이루게 됩니다. 그러니 국가의 금 보유량을 늘 염려하게 됩니다. 그때 한 신하가 꾀를 내어 금화에 불순물을 섞자고 제안합니다. 그래서 로마시대에 금화에 100% 금을 쓰지 않고 불순물을 섞어서 화폐 유통량을 늘렸는데 이것이 탄로나자 로마와 거래하던 상인들이 더이상 로마의화폐를 받지 않게 됩니다. 금이 아니니까요. 그러면 로마 사람들은 더이상 물건을 살 수가 없고, 이렇게 로마 대국이 망했다고 금융학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달러 역시 금을 기준으로 그 가치를 매겨 달러를 찍어냈는데 경제규모가 계속 커지게 되고 그렇게 달러를 어마어마하게 찍어내다 보니 1달러와 금의 가치 관계가 점점 떨어졌습니다. 이제 1달러로 금을 절대 못 사죠. 만약 미국과 거래하는 국가들이 이를 문제삼아 달러를 화폐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미국도 로마와 비슷한 결과를 가질 것입니다.
이에 어마어마하게 성장하는 중국의 위안화가 다음 패권을 가지게 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들이 나오는 것입니다.
과거 화폐 패권의 역사를 돌아보면 80~110년 정도가 사이클인데, 현재 미국은 99년 정도 되었습니다. 새로운 기축통화 출현에 대한 생각들이 나올 수밖에 없죠.
그렇다면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쨌든 국가의 힘은 금융의 힘인데 이를 위해서는 경제력이 있어야 합니다.
달러는 미국의 경제력을 담보로 해서 통화가치를 인정 받는 것이죠.
위안화가 달러를 이기려면 중국의 경제력이 미국의 경제력을 추월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전 세계 외환보유고 측면에서도 미국이 2020년 1분기 60퍼센트인데,중국은 2퍼센트 밖에 되지 않고 위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결제 시 사용하는 화폐의 규모면에서도 차이가 많이 있습니다.
결국 이 화폐 패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의 경제력인데 이는 기술력에서 창출됩니다.
그러므로 중국은 현재 자국의 기술력을 미국을 팔로우하는 것이 아니라 추월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둬야 합니다.
그래서 현재 벌어지는 4차산업혁명 기술 싸움에서 두 국가가 사활을 걸고 싸우고 있는 것입니다.
미국도 가만히 있다가는 힘을 빼앗기는 건 당연하니까요.
위의 모든 내용을 종합해보자면
아직 중국은 결제규모, 외환보유고, 경제력에서 미국에게 승부가 안 되기 때문에 미국의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현실적으로어려운 이야기고 그것이 가능하려면 우선적으로 중국의 경제규모가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는 2030년 정도가 되었을 때의 화폐 패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맞다.
입니다. 앞으로 중국이 어떻게 기술력을 성장시켜나갈지, 과거의 일본처럼 미국에 패배하게 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중국의 디지털 화폐 사용에 수혜를 얻게 될 기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kingramgee.tistory.com/2
[중국 디지털 화폐 시리즈 (1)] 중국 디지털 화폐 DCEP 발행, 정체를 밝혀라
요즘 비트코인이나 NFT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경제 패러다임들을 많이 볼 수 있죠? 실제로 그들이 어마어마한 돈을 만들어내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것 같습니다 (필자도 마찬가지예요) 이
kingramgee.tistory.com
https://kingramgee.tistory.com/3
[중국 디지털 화폐 시리즈 (2)]중국의 디지털 화폐 DCEP,정부에서 그 사용을 주저하는 이유는?
저번 시간에는 중국 정부에서 발행한 디지털 화폐인 DCEP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https://kingramgee.tistory.com/2 중국 디지털 화폐 DCEP 발행, 정체를 밝혀라 (1) 요즘 비트코인이나 NFT와 같은 새로운 형
kingramgee.tistory.com
내용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p41YD08Y4PY&list=PLtRqotf0ZYpsM0aqFMD9mYdWXc5kV3Wj9&index=4